프로그램
The 8th World Humanities Forum
Day 2   11월 5일 (수)
  • 행사일시

    2025년 11월 5일(수) / 09:30~17:30

  • 행사구성

    분과회의 2 (8개 세션 AI, 공존) , 기조강연 2 (공존), 심포지엄2 (AI, 공존)

  • 행사장소

    안동국제컨벤션센터 B1F 대회의실 (메인행사장), 2F 201~210 (분과회의장)

기조강연 2
시간 프로그램 세부내용
13:30~15:00 기조강연 2
(공존)
  • 연사 : 권헌익
  • “사회적 지능을 다시 생각한다. (M.W.사회적 지능의 재사유)”
  • 사회 : 김선욱
심포지엄 2
시간 프로그램 세부내용
15:30~17:30 심포지엄 2
(AI)

주제 : AI 편향성

  • 연사 :
    • 1. 피니스 찬탈랑시(Phinith Chanthalangsy): 느림과 빠름 - 인문학과 마주한 인공지능
    • 2. 석봉래: 공존과 협력의 관계적 관점에서 본 도덕적 행위자로서의 인공지능
  • 사회 : 박진영
심포지엄 2
(공존)

주제 : 동아시아의 공존

  • 연사 :
    • 1. 문유미: 태평양 전쟁과 일본 판아시아주의의 종언
    • 2. 곽준혁: 가치 경쟁 길들이기: 관계적 비지배를 통한 평화적 공존
  • 사회 : 양일모
분과회의 2
시간 프로그램 세부내용
09:30~12:00 1세션
(AI)

주제 : AI와 인간성

  • 사회 : 이길산
  • 연사 :
    • 1. 발라 가나파티 데바라콘다(Bala Ganapathi Devarakonda): 왜가 아닌 어떻게: 인공지능 권리와 인간 존엄의 문제 재구성
    • 2. 존슨 토마스쿠티(Johnson Thmaskutty): 인공지능 시대 맥락에서의 인도의 기독교 종교 교육
    • 3. 방종우: AI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성찰
    • 4. 보일스님(양성철): AI 의료 빅데이터에 기반한 인간 수명 연장 기술의 불교 윤리적 고찰
  • 토론 : 최성호
2세션
(AI)

주제 : AI와 예술

  • 사회 : 박평종
  • 연사 :
    • 1. 앨리스 바라레(Alice Barale): 예술가에게 배우기? 인간–인공지능 대화에 대한 철학적 탐구
    • 2. 정서현: 서사로 사유하는 기계들: 인공적 어긋남의 미학
    • 3. 박진
  • 토론 : 박상우
3세션
(AI)

주제 : AI와 한국어 교육

  • 사회 : 채영희
  • 연사 :
    • 1. 사티안슈 스리바스타바(Satyanshu Srivastava): 인공지능 시대 인도를 위한 한국어: 기회와 도전
    • 2. 조지은: AI 시대의 돌봄 기반 교육학
    • 3. 이정희: 한국어교육과 인공지능: 교사의 새로운 역할과 가능성
    • 4. 곽용진
  • 토론 : 강현화
4세션
(AI)

주제 : AI와 언어

  • 사회 : 권만우
  • 연사 :
    • 1. 장-루이 박셀레르(Jean-Louis Vaxelaire): 인공지능 시대의 글쓰기와 번역
    • 2. 강석(Seok Kang): 협력적 사회 생산에서의 인공지능: 현재의 전개와 미래 의제
    • 3. 이유미: Artificial Intimacy: 인공적 친밀성과 인간 관계의 변화
    • 4. 박정원: AI 기반 융합 인문학 교육과정 기획과 강의 콘텐츠 개발
  • 토론 : 박진호
5세션
(공존)

주제 : 전쟁과 공존

  • 사회 : 김형곤
  • 연사 :
    • 1. 미클로스 자이들러(Miklós Zeidler): 세계 평화의 초기 시도: 국제연맹(1919~1939)
    • 2. 린다 수나르티(Linda Sunarti): 구전 경고와 해양 기억: 아체 시므룰루의 스몽 전통 역사화
    • 3. 손경호: 전쟁의 덫을 넘어선 공존의 가능성
    • 4. 김지영: 중부유럽의 극우주의의 원인, 현황, 미래: 한국에 주는 시사점
  • 토론 : 박재광
6세션
(공존)

주제 : 위기와 레질리언스

  • 사회 : 김기봉
  • 연사 :
    • 1. 프랑크 우에쾨터(Frank Uekötter): 위기 취약적 세계 식량 체계에서 회복탄력성을 어떻게 높일 수 있는가
    • 2. 야마 요시유키(Yoshiyuki Yama): 일본 인구 감소 지역에서의 공동체 활성화와 재난 위험 감소
    • 3. 박혜정: 숲과 기후: 역사적, 환경과학적, 생태학적 고찰
    • 4. 이세진: 한국의 치산녹화와 공유: 금송계, 산림계를 중심으로
7세션
(공존)

주제 : 포스트콜로리얼 문화와 민족 문학

  • 사회 : 김태용
  • 연사 :
    • 1. 멜리나 발카사르(Melina Balcázar): 라틴아메리카와 아비아얄라 사이: 탈식민주의, 다언어주의, 토착 언어 문학의 번역
    • 2. 코헤이 쿠와다(Kuwada Kohei): 글로벌화 시대, 느린 탈식민 비평 모색
    • 3. 최성웅: 포스트콜로니얼 시대에 공존을 위한 문학과 번역의 실천과 모색
8세션
(공존)

주제 :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공존

  • 사회 : 정원섭
  • 연사 :
    • 1. 최훈: 딜레마에 빠진 애완동물 재론
    • 2. 박상혁
    • 3. 성신형
    • 4. 정원섭: 인공지능시대 공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