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8회 세계인문학포럼
The 8th World Humanities Forum
Day 1   11월 4일 (화)
  • 행사일시

    2025년 11월 4일(화) / 09:30~17:30

  • 행사구성

    분과회의 1 (8개 세션 AI, 공존), 개회식, 기조강연 1 (AI), 심포지엄1 (AI), 심포지엄2 (공존)

  • 행사장소

    안동국제컨벤션센터 B1F 대회의실 (메인행사장), 2F 201~210 (분과회의장)

기조강연 1 및 개회식
시간 프로그램 세부내용
13:00~13:30 개회식
13:30~15:00 기조강연 1
(AI)
  • 연사 : 모하메드 알리 벤마크루프(Mohammed Ali Benmaklouf)
  • “인공지능과 인간 대화의 도전”
  • 사회 : 김선욱
  • 토론 : 김혜숙
심포지엄 1, 2
시간 프로그램 세부내용
15:30~17:30 심포지엄 1
(AI)

주제 : AI 거버넌스

  • 연사 :
    • 1. 박태웅: AI의 시대, 도전과 응전
  • 사회 : 이찬규
심포지엄 2
(공존)

주제: 중동 지역의 공존

  • 연사 :
    • 1. 아메드 나심 바르카위(Ahmed Nassim Barqawi): 국가 간 공존의 의미: 부정성과 긍정성 사이에서
    • 2. 이희수: 중동지역의 평화와 공존 : 역사성과 현실적 대안
  • 사회 : 성일광
분과회의 1
시간 프로그램 세부내용
09:30~12:00 1세션
(AI)

주제 : AI 윤리

  • 사회 : 손화철
  • 연사 :
    • 1. 바르바라 야누시-폴(Barbara Janusz-Pohl): 형사사법 제도에서 인공지능 도입의 윤리적 과제
    • 2. 호 만 퉁(Ho Manh Tung): 인간-인공지능이 공동 창조하는 지속가능한 미래에서 자연지수(NQ)의 역할
    • 3. 정성훈: 생성된 이미지를 갖춘 프로필 정체성을 통해 정체성의 역설 펼치기
    • 4. 허유선: 인공지능 시대의 공공성 재고 – 드러남의 공간을 중심으로
  • 토론 : 고인석
2세션
(AI)

주제 : AI와 인문학 연구

  • 사회 : 박건우
  • 연사 :
    • 1. 토니 비일(Tony Veale): 두 가지 마음: 대규모 언어모델을 둘러싼 빠른 사고와 느린 사고
    • 2. 마르친 갈린스키(Marcin Galiński): 인공지능 행위자 처벌의 철학적 근거로서의 정언명령
    • 3. 전준: AI와 인문학 하기: 비교사회학적 관점
    • 4. 김바로: AI 시대 인문학 연구 거버넌스
  • 토론 : 맹성현
3세션
(AI)
(라운드테이블)

주제 : AI 시대의 교육

  • 사회 : 이찬규
  • 연사 :
    • 1. 도성훈: AI시대, 읽걷쓰가 답이다!
    • 2. 엄성우: 어떻게 인공지능 교사를 덕스럽게 대할 것인가
    • 3. 김현철: 인공지능 시대 교육의 방향
    • 4. 김원중: AI 대전환 전환시대에 있어서 교육패러다임의 전환 필요성과 인문학적 인재상의 확립
4세션
(AI)

주제 : AI와 번역

  • 사회 : 최호빈
  • 연사 :
    • 1. 커 휴(Ke Hu): 번역과 창의적 실천에서의 인간-인공지능 협력: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원칙과 전략
    • 2. 무함메트 에므레 코르크마즈(Muhammet Emre Korkmaz): 한국어 교육에서의 인공지능 기반 의미 분석: 터키 대학 맥락에서의 시사점
    • 3. 임영길: AI 기반 한문 번역의 현황과 전망
    • 4. 장요한: 과거 언어, 미래 기술: 한국어 역사자료 말뭉치와 AI 융합 연구
5세션
(공존)

주제 : 뮤지움, 포용적 공간

  • 사회 : 박은경
  • 연사 :
    • 1. 권성연: 탈식민주의적 실천에서 기후변화까지 –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
    • 2. 오이 마사오(Masao Oi): 경계를 넘어, 문화를 잇다: 탐구 학습의 촉매로서의 디지털 박물관
    • 3. 박성일: 상호문화주의를 바탕으로 본 고문헌의 관리와 활용: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을 중심으로
    • 4. 김영희: 모두를 위한 박물관, 모두를 위한 미술사-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을 중심으로 토론: 민병찬
  • 토론 : 민병찬
6세션
(공존)

주제 : 한국의 문학과 세계

  • 사회 : 김태용
  • 연사 :
    • 1. 장-클로드 드 크레센조(Jean-Claude de Crescenzo): 한국 문학과 세계 문학의 공존을 위한 몇 가지 조건
    • 2. 이승우: 한국문학의 세계적 공존을 위한 전제
    • 3. 정용준
7세션
(공존)

주제 : 디지털시대의 책과 도서관

  • 사회 : 문경훈
  • 연사 :
    • 1. 기욤 포(Guillaume Fau): 마르셀 프루스트의 원고 사례: 창조적 천재에서 인공지능까지, 비판적 관점
    • 2. 라파엘 올레아 프랑코(Rafael Olea Franco): 보르헤스: 낙원(그리고 지옥)으로서의 독서와 도서관
    • 3. 김영욱: 책의 멜랑콜리
  • 토론 : 우석균, 차지연
8세션
(공존)

주제 : 타자와의 만남

  • 사회 : 정세근
  • 연사 :
    • 1. 아디티 싱( Aditi Singh): 루프 안의 인간: 인간과 비인간 ‘타자’와의 만남과 공존
    • 2. 최석 가브리엘(Suk Gabriel Choi): 기철학적 관점에서 본 소통과 공감에 대한 성찰
    • 3. 임영진: 고대 동아시아 성인옹관 발생배경의 유사성
    • 4. 서민규: 초월과 공존: 문명 전환기의 철학적 대응과 과제
  • 토론 : 조남호